바람만 스쳐도 아픈데…통풍 완화하는 방법 4
40대 이후 중년 남성에게 잘 생기는 통풍은 혈액 속에 많아진
요산 결정이 관절이나 연골 주변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는 병이다.
최근엔 서구화된 식생활로 2, 30대 통풍환자도 증가세다.
통풍은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서 일으킨 바람을 맞아도
아프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통증이 심할 때도 있다.
대부분의 통풍 환자들은 통증이 있을 때에만 식단을 관리한다.
하지만 평소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꾸준하게 식이조절을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와 관련해 ‘헬스라인닷컴’ 등의 자료를 토대로
통풍 관리에 좋은 식사법을 알아본다.
1. 수분, 채소 섭취 충분히
하루 10잔 이상 물을 마시면
소변으로 요산이 배설돼 통풍을 다스리는데 도움이 된다.
섬유질, 엽산, 비타민C가 풍부한 채소는 요산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에 충분히 먹는 것이 좋다.
그러나 과당이 많은 과일주스, 청량음료를 많이 마시면
장기적으로 요산 수치를 높일 수 있으니 생수를 마시도록 하고,
생수를 마시기 힘들다면 이뇨작용을 돕는
옥수수 수염차, 메밀차 등을 마시는 것도 좋다.
단, 신장(콩팥) 질환으로 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과도한 수분 섭취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주치의와 상의해야 한다.
2. 퓨린 많은 식품 제한
음식으로 섭취하거나 체내에서 합성된 퓨린이 분해돼 요산을 만든다.
퓨린 함량이 많은 식품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기본이다.
육류나 멸치로 육수를 내면 퓨린 함량이 많기 때문에
외식할 때 탕, 찌개, 해장국 등 국물 음식을 줄이고,
가능하면 채소, 다시마를 이용해 육수를 내는 것이 좋다.
영양 밸런스를 위해 육류와 생선 섭취를 끊을 수는 없다.
대신 생선 1토막(50g)이나 육류(40g) 등을 한 가지로 제한해 먹도록 한다.
달걀, 치즈, 우유, 빵, 과일류 등은 퓨린이 적어 통풍환자가 자유롭게 섭취해도 된다.
버섯과 시금치, 아스파라거스를 제외한 나머지 채소도 퓨린 함량이 적다.
3. 정상체중 유지
비만은 통풍의 원인이 될 수 있고, 관절에도 많은 무리를 준다.
비만인 경우 체중을 줄이면 체내에 쌓인 요산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과도한 체중 조절은 요산 배설을 억제해 통풍을 악화시킬 수 있다.
한 달에 1~2kg을 목표로 한 점진적 감량이 바람직하다.
4. 금주
술은 퓨린 함량이 높다. 혈중 요산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요산이 소변으로 배설되는 것을 억제해 통풍을 악화시킨다.
종류와 상관없이 금주해야 한다.
통풍이란 우리 몸 안에 요산이라고 하는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고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병이다.
다른 사람이 지나가면서 일으킨 바람에 의해서도 많이 아프고
온몸에서 열이 난다고 하여 통풍이라고 한다.
우리가 흔히 먹는 고기나 술에는 퓨린이란 물질이 많이 들어 있다.
요산이란 우리가 먹는 여러 음식이 소화되어 최종적으로 대사된 후
나오는 물질로서 보통 혈액 내에 녹아 있다가 소변으로 배출된다.
통풍 환자에서는 혈액 내 요산이 지나치게 많아서 이것이 결정체로 변하고,
이 요산 결정체가 관절 내에 침착하여 염증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대개의 통풍 환자들은 혈액 내에 요산이 정상치 이상으로 높은
소위 고요산혈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무 증상 없이 고요산혈증을 가진 사람들이 훨씬 더 많기 때문에
요산이 높다고 모두 통풍 환자가 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통풍 관절염은 고요산혈증이 심할수록 또 기간이 오래될수록 발병할 가능성이 높다.
통풍 환자는 거의 남자이고
대개 첫 발작적 관절염을 40~50세에서 경험한다.
한때 통풍은 좋은 음식을 먹고 술 마시는 부유층의 병으로 간주되기도 했지만
요즘은 식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사회계층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통풍은 상당히 흔한 병으로 신체조직의 관절에서 일어나는
심각한 질병들 중 적어도 5%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여성이 통풍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어서,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무려 20:1이다.
'웰빙건강, 체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으로 줄일 수 있는 암 종류 9가지 (0) | 2021.01.12 |
---|---|
대상포진에 좋은 음식 정리 (0) | 2021.01.12 |
차가버섯 분말 먹는 방법. (0) | 2021.01.09 |
온몸이 간질간질~ 전신 가려움증 유발하는 병 5 (0) | 2021.01.09 |
아픈몸 증상별로 지압 치료법 (0) | 2021.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