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걸이를 보면 건강이 보인다
발끝으로 살금살금 걷기
아직 걷기에 서툰 어린 아이들은
발끝으로 걸을 수 있다.
꼿꼿하게 걷는 자세를 배우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상적으로 걸어야 할 나이에도
이처럼 발끝으로 걷는다면
건강상 문제를 의심해볼 수 있다.
뒤꿈치가 바닥에 닿기 불편할 정도로
아킬레스건이 짧을 수도 있고,
뇌성마비나 근육위축증 등으로 근육을
제대로 쓰기 어렵기 때문일 수도 있다.
자폐증이 있는 아동에게서도 볼 수 있는
증상 중 하나다.
▒ 왼쪽으로 치우쳐 걷기
걱정거리가 많거나 심리적 불안지수가
높은 사람은 걸음을 걸을 때 왼쪽 방향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눈가리개를 한 상태로 걷기 실험을 한 연구결과다.
이는 뇌의 오른쪽 부위가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처리하는데 많이 쓰이면서
상대적으로 걷기에 소홀해지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분석된다.
▒ 기우뚱 걷기
절뚝거리며 다리를 전다면 부상이 원인일 수 있다.
만약 특별히 다친 곳이 없다면 골관절염과 같은
질환이 기우뚱 걷는 이유일 수 있다.
평소 한쪽 다리를 다른 한쪽 다리보다
많이 사용한다거나
한쪽 다리 힘만 자주 풀린다면 관절염이 있는 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한다.
▒ 균형 감각 상실
이는 흔히 술 취한 사람에게서
볼 수 있는 걸음걸이다.
그런데 알코올 중독 상태에 이르면
술을 마시지 않았을 때도 비틀댈 수 있다.
근력 저하나 방향 감각 상실과 같은 상태에 이르러
술을 안 마셨을 때도 발을 헛디디거나
휘청거리게 되는 것.
이런 사람들은 술을 줄여야 서서히 정상적인
걸음을 되찾을 수 있다.
▒ 나는 듯 걷기
평지를 걸을 때 눈에 보이지 않는 계단을 오르듯
성큼성큼 걷는다면 ‘족하수’가 원인일 수 있다.
발 근육이 약해져 발을 위로 끌어당기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는 질환이다.
이 질환이 있는 사람은 발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만회하기 위해 더욱 발을 높이 들어 올리는
특징을 보인다.
보통 한쪽 발에만 증상이 나타나지만 간혹
양쪽 발 모두 족하수가 생기기도 한다.
근위축증이나 다발성 경화증처럼 신경, 근육, 뇌,
척추 등에 이상이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다.
▒ 느린 속도로 걷기
예전보다 걷는 속도가 느려졌다는 건
건강이 나빠졌다는 의미일 수 있다.
신체 건강은 물론 정신 건강이 나빠졌을 때도
속도가 느려진다.
알츠하이머를 예측하는 하나의 특징이
될 수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 흔들거리며 걷기
걸을 때 몸이 앞뒤로 흔들린다면
이땐 알코올 중독이 원인이 아닐 수 있다.
뇌에 이상이 생겼다는 의미일 수 있으니
병원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다.
특히 스포츠 선수들이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선수들끼리 신체 접촉이 많은 ‘접촉 스포츠’를 하는
운동선수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 질질 끌며 걷기
걷는 속도가 느리고 발을 질질 끌며 걷는다면,
그리고 나이가 60세 이상이라면?
뇌가 다리 근육에 ‘움직이라’는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
구부정한 자세에 팔 움직임이 거의 없고
발을 질질 끌며 천천히 걷는 것을
‘파킨슨병 걸음(Parkinson’s gait)’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 만큼 파킨슨병이 있는 사람에게 흔하다.
'웰빙건강, 체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15가지 지혜 (0) | 2019.05.02 |
---|---|
병 고치는 궁중 식이요법 (0) | 2019.04.29 |
간이 안좋을때 나타나는 증상 (0) | 2019.04.29 |
노트에 옮겨적고 실천해야 할 건강메모 (0) | 2019.04.26 |
심장병, 협심증, 뇌혈관질환, 수족냉증,고지혈이 있다면.. (0) | 2019.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