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먹어도 될까?
유통기한 조금 지나도 문제없이 먹는 음식
냉장고를 정리하다 발견한 유통기한 지난 식품.
이것을 버려야 할지 먹어야 할지,
누구나 한 번쯤은 고민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깝다고 무리해서 먹다 탈이라도 날까
찝찝한 마음을 감출 수 없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면 모든 식품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부패하는 것일까?
사실 그렇지 않다.
많은 사람들이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을 상했다고
잘못 생각하고 버리고 있지만,
관리만 잘하면
유통기한이 조금 지난 후 섭취해도 무방하다.
유통기한에 대한 진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유통기한은 해당 식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법적인 기한을 뜻한다.
유통기한이 지나면 가게에 진열하거나
판매하는 것이 금지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구매 후 보관하던 중에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어떻게 해야 할까?
이때는 식품이 소비기한에 접어들게 된다.
소비기한이란 식품 섭취 시 소비자의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는 기한을 뜻한다.
대개는 소비기한의 60~70% 선에서 유통기한이 결정된다.
따라서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도
일정 기간 이후인 소비기한까지는 섭취할 수 있다.


해외에서는 소비기한을
식품 포장지에 표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소비기한
없이 유통기한만 표시하고 있다.
그래서 식품별 소비기한을 따로 기억해놓는 것이 좋다.
특히 우유는 유통기한이 짧아
기한 내에 섭취하기 힘든 식품 중 하나다.
그런데 사실, 개봉하지 않고 냉장 보관한 경우에는
유통기한이 지나도 50일까지는
섭취할 수 있다.
단, 식품 포장지에 표기된 제품보관요령을 꼭 지켜줘야 한다.
올바르게 보관하지 않으면 유통기한 이내에도
식품은 변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통기한이 조금 지나도 괜찮은 대표적인 식품 중 하나는
바로 달걀이다.
달걀의 유통기한은 14일이지만,
소비기한은 25일이다.
따라서 유통기한 경과 후 3주가 지났어도 먹어도 된다.
물에 넣었을 때 가라앉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달걀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먹어도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고 알려졌다.

식빵의 유통기한은 보통 3일이다.
하지만 식빵을 밀봉해 냉동 보관할 경우,
유통기한 만료 후 20일은 더 먹어도 무방하다.
하지만 이 역시 올바르게 보관해야 가능한 일이다.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 따르면,
상온에 식빵을 방치했을 경우 소비기한이
20일에서 6일로 대폭 줄어든다고 한다.
8일이 지나면 곰팡이까지 생길 수 있어 위험하다.
만약 그래도 유통기한이 지나 찝찝하다면
탈취제로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식빵을 쿠킹포일로 감싼 후 젓가락으로 여러 군데
구멍을 뚫어 냉장고 안에 두면 탈취 효과가 있다.
냉장고 안의 잡냄새를 잡는 데도 효과적이다.

유통기한은 말 그대로
식품을 유통할 수 있는 기한을 말한다.
마트 등에서 언제까지 팔 수 있는지를 정한 것이다.
따라서 유통기한은
섭취가 가능한 기한인 소비기한과는 다르다.
특히 두부의 유통기한은 일주일 정도밖에 안 되지만,
실제 소비기한은 90일이나 된다.
단, 이는 미개봉 시 냉장보관 기준이다.
두부는 개봉하는 순간 상하기 쉬우니 조심해야 한다.
따라서 포장을 뜯지 않은 팩두부를 제대로 보관했을 때에는
유통기한이 지나도 90일까지는 먹을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식품을 구매할 때는 대부분 최대한 유통기한이 긴 제품을 선택한다.
하지만 정작 바쁘다 보면 제때 소비하지 못해 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보관 방법을 잘 지킨다면
유통기한이 지나도 먹을 수 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보관환경이다.
냉동만두는 보관방법을 지켜 제대로 보관한다면,
유통기한 경과 후 25일까지는 안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통기한이 길고 보관이 쉬울 뿐 아니라,
손질 없이 바로 조리해서 먹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식품이 있다.
바로 통조림이다.
하지만 너무 긴 통조림의 유통기한을 보면
과연 먹어도 되는 건지 의심이 간다.
특히 참치 통조림의 유통기한은
5~7년으로 아주 길다.
이는 개봉하지 않은 상태라면
상온에서도 보관이 가능하며,
유통기한 이후 10년까지가
소비기한이다.
반면 야채 등 첨가물이 들어간 참치 통조림이나
파우치 형태의 가공 참치는 살코기 통조림보다
유통기한, 소비기한 모두 훨씬 짧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개봉 후 내용물이 남아있다면 통조림 캔 안에서
꺼내 다른 밀폐용기에 옮겨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더 퀴즈 라이브
'웰빙건강, 체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가 아플때는 겨드랑이도 살펴야 (0) | 2020.01.24 |
---|---|
치아, 오래 닦는 것보다 '정확히' 닦는 게 중요 (0) | 2020.01.24 |
생강의 효능과 사용법 (0) | 2020.01.24 |
식탁에서 지켜야 할 십계명 (0) | 2020.01.24 |
80세에도 치매 걸리지 않는 비법 너무 간단해요. (0) | 2020.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