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 같은
뇌 노폐물이 뇌에 쌓이면
신경세포(뉴런)를 파괴해 치매 등
퇴행성 뇌 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는 이런 뇌 노폐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알지 못했으나,
최근 국내 연구진이 동물 실험을 통해
이런 노폐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를 처음으로 찾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연구단
고규영 단장(카이스트 특훈교수)팀은
25일 "뇌의 노폐물이 섞여 있는 뇌척수액을 배출하는
주요 통로는 뇌 하부에 있는 뇌막 림프관"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뇌에서는 대사활동 부산물로 많은 양의 노폐물이 생성된다.
이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뇌에서는 대사활동 부산물로 많은 양의 노폐물이 생성된다.
이 노폐물은 뇌척수액을 통해 중추신경계 밖으로 배출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뇌척수액이 뇌 밖으로 나오는
주요 경로는 규명되지 않았다.
![]() |
뇌막 림프관의 위치를 표현한 그림 |
연구진은 형광물질을 생쥐의 뇌척수액에 주입하고
뇌 구조를 살펴보는 방법으로 위치에 따라
뇌막 림프관의 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구조의 차이는 기능의 차이를 의미하는 '단서'다.
연구진이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구조를 분석한 결과,
연구진이 자기공명영상(MRI)으로 구조를 분석한 결과,
뇌척수액이 뇌 하부에 위치한 뇌막 림프관을 통해
중추신경계 밖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 하부의 뇌막 림프관이 뇌에 쌓인 노폐물을
내보내는 '배수구' 역할을 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한 것이다.
뇌막 림프관은 머리뼈 속에서 다른 혈관들과
뇌막 림프관은 머리뼈 속에서 다른 혈관들과
복잡하게 얽혀있어
지금껏 정확하게 관측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150년 전 발견됐지만
그 기능은 베일에 싸여 있었다.
![]() |
노화에 따라 뇌막 림프관이 비대해짐을 나타낸 그림 |
연구진은 또 고령 쥐의 경우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이 붓고 내부 판막이 망가져,
뇌척수액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이는 노화에 따라 뇌 속 노폐물이 쌓이게 되는
원인을 시사하는 결과다.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가 퇴행성 뇌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신약 개발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 연구는
현재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 연구는
주로 원인물질 생성을 막거나 생성된 원인물질을
분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폐물이 잘 배출되도록
하는 방식의 새로운 치료법 연구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
고규영 IBS 혈관연구단장 |
고규영 단장은 "뇌 하부 뇌막 림프관의 배수 기능을
향상하는 약물을 개발하면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방법의
새 실마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2천년간 이런 심각한 온난화는 없었다"…
회의론 논거 '흔들'
연합뉴스 원문 입력 2019.07.25 10:46
네이처 논문 3편, '지역 국한된 과거 기온상승과 다르다' 입증
![]() |
서기 1~2000년의 기온변화 및 범위 그래프 지역 범위(세로축)를 나타낸다. 상단 그래프는 연 단위, 하단은 51년 단위를 작성된 것이다. 20세기 말처럼 짙은 적색 그래프가 높이 올라가 있는 곳이 없다. [네이처 논문 캡처] |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난 2천년간 20세기 말에 벌어진 것처럼
지구 기온이 광범위한 지역에서 급속히
오른 적은 없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현재의 지구기온 상승이 지구 역사에서
이는 현재의 지구기온 상승이 지구 역사에서
오르락내리락하며 반복돼온 자연적인 기온 변화 과정의
일부로 심각한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인류가
만들어낸 것도 아니라는 주장의 논거를 깨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와 외신 등에 따르면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와 외신 등에 따르면
스위스 베른대학 지리학연구소의 라파엘 노이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나무 나이테와 호수 침전물,
산호, 빙하 핵 등 과거 기후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약 700개의 척도를 활용해 지난 2천년간의
기후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지구 기온이 20세기 말처럼
그 결과, 지구 기온이 20세기 말처럼
거의 지구 전체에 걸쳐 급격히 상승한
적은 전례를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천년 사이 로마 온난화시기(250~400년)나
지난 2천년 사이 로마 온난화시기(250~400년)나
중세 온난화시기(800~1200년),
소빙하기(1300~1850년) 등처럼
기온이 장기간에 걸쳐 상승하거나
하락한 시기가 분명히 존재했다.
그러나 이때는
그러나 이때는
지구 절반 이상에 걸쳐 광범위하게
진행된 기후변화는 없었으며
지역적으로만 기온변화가 있었다.
예컨대 중세 온난화시기 때는
예컨대 중세 온난화시기 때는
유럽의 40% 지역에서만 기온이 올랐으며,
소빙하기 때는 태평양에서는 15세기에,
유럽에서는 17세기에 절정을 맞는 등
지역적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말 온난화는 98% 이상 지역에서
그러나 20세기 말 온난화는 98% 이상 지역에서
평균기온이 상승하며 온난화가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 |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본부의 대형 온도계 대형 온도계가 42도를 가리키고 있다. [로이터=연합스] |
노이콤 박사는 "인류가 현재의 지구온난화를
초래하고 있는지는 분명하게 확인하지 않았지만,
우리 자료를 통해 현재 전개되는 온난화 속도와
공간적 양상은 자연적인 원인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고 했다.
논문 공동저자인 컬럼비아대학의
논문 공동저자인 컬럼비아대학의
기후과학자 네이선 스타이거 박사는
로이터 통신과의 회견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화석연료와 인류의 활동이
지구 기후를 근본적으로 바꿔놓고 있다는
결정적 추가 증거"라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이와함께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
베른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다른 2편의 논문도
산업혁명 이전의 기후변화는 화산활동이 주요 원인이었으며,
20세기 말과 같은 급격한 지구온난화는
없었다는 비슷한 결론을 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기후학 교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기후학 교수
마크 마슬린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가
"최근에 관측되는 일관된 지구 온난화를 자연적
기후순환의 일부라고 하는 기후변화
회의론자들의 주장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는 것"이라면서
"과거의 지역에 국한된 기후변화와 인류가
만든 지구 전체에 걸친 온실가스 효과의
극명한 차이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eomns@yna.co.kr